목 통증 목디스크인가? 아니면 거북목?

목 통증 목디스크인가? 아니면 거북목?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량이 예전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목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꾸준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오랜시간 사용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고개를 푹 숙이거나 거북이처럼 목을 앞으로 쭉 빼는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이러한 자세는 목뼈에 하중이 커지게 됩니다.

목 통증

 

목 통증의 종류와 원인

목 통증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세나 스마트폰 사용 등 일상적인 요인뿐아니라 사무직, 운전과 같은 직업적인 원인과 외상이나 질병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목 통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첫번째 단계입니다.

목통증

목디스크

목뼈와 목뼈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추간판, 즉 디스크가 존재합니다. 목에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하는 일자목이나 거북목 그리고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약해진 디스크가 찢어지거나 밀려나오면서 목디스크가 발생하게 됩니다.

목디스크의 증상 5가지

가만히 있어도 목통증이 있고 목을 젖히면 더 심해집니다.

목통증과 목에 저릿한 느낌도 같이 나타납니다.

두통과 어지러움증도 느껴집니다.

목통증에서 팔과 어깨 통증으로 이어지고 팔에 저림이 생깁니다.

두통과 어지러움이 자주 느껴집니다.

거북목 증후군

거북목 증후군은 스마트폰 사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증후군으로 고개를 푹 숙이거나 목을 앞으로 쭉 내미는 자세로 인한 목과 어깨의 근육 긴장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허리 척추의 곡선이 변하고 만성적인 통증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거북목 중후군 증상

만성적인 목 통증이 발생합니다.

목 운동의 범위가 감소합니다.

목의 근육이 단단한 느낌으로 굳어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두통과 허리통증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통증

목통증과 진단

목통증으로 인한 진단은 의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영상검사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MRI나 X-RAY 같은 영상 검사가 필수입니다. 또한 목의 움직임과 근육강도 등도 같이 평가하여 디스크나 거북목 같은 상태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목디스크와 거북목 증후군의 치료방법으로는 보존적 치료방법과 약물치료, 침술과 주사요법, 수술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방법

보존적 치료방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고려하고 증상을 완화하고 신체의 자가회복을 지원하는 방법입니다. 디스크에 가해진는 압력을 줄이기 위해 휴식을 취하고 물리치료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과 스트레칭 프로그램이 보존적 치료방법 입니다.

도수치료

도수치료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주사치료를 받지 않고도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람이라면 가지고 있는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 도수치료 입니다. 근본적인 원인인 척추관절을 바로 잡아주어 근본적인 원인에 접근하는 방법 입니다.

약물치료

약물치료는 통증 관리와 염증 완화를 위한 방법입니다. 통증이 심할경우 고려되는 방법으로 비스페놀이나 아세트마미노펜 등의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염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항염제를 통해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 시킵니다.

침술과 주사요법

한의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침술로 목 주변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경우 스테로이드 주사와 근육주스를 통해 신경에 압력을 줄여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술

수술은 보존적 치료방법과 다른 치료 방법으로도 완화되지 않는 심각한 경우에만 고려되는 최후의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로는 디스크의 일부를 제거하여 신경에 가하는 압력을 줄이는 적출수술과 디스크를 대체할 인공 디스크를 삽입하여 통증을 줄이고 운동능력을 회복하는 인공디스크 수술이 있습니다.

마무리

목디스크와 거북목 증후군은 일상생활의 습관과 제세에 크게 영향을 받는 문제입니다.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과 유연하게 할수 있는 스트레칭,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시 자세를 개선하여 목디스크와 거북목 증후군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